온누리상품권 신용카드, 체크 카드 등록으로 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응원하면서도 소비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온누리상품권. 하지만 종이(지류) 상품권이나 모바일 상품권만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함을 느끼셨던 분들이 많으셨을 겁니다. 이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전용 어플에 등록하면, 마치 일반 카드처럼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1. 온누리상품권 앱으로 카드 등록하기
가장 핵심적인 변화는 바로 온누리상품권 전용 앱을 통해 카드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카드를 등록한다고 해서 카드 결제로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하는 구조는 아니며, 실제 결제는 연결된 은행 계좌에서 충전한 상품권 잔액으로 이루어집니다.
즉, 등록한 카드는 단순히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매체)의 역할을 하며, 충전은 은행 계좌에서, 결제는 카드로 진행됩니다. 앱은 '온누리상품권'이라는 이름으로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쉽게 검색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등록 가능한 카드 종류
- 비씨카드
- KB국민카드
- NH농협카드
- 삼성카드
- 신한카드
- 현대카드
주의사항: 가족카드, 법인카드, 지역화폐 카드 등 특수 목적 카드의 경우 등록이 제한됩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 대상, 지원금액, 지급 시기 총정리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 대상, 지원 금액, 지급 시기 등 핵심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생활비 부담을 느끼는 국민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overtaking.tistory.com
2.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의 장점
지류 상품권을 매번 지갑에 넣고 다녀야 했던 불편함은 이제 과거의 이야기입니다. 온누리상품권 앱을 통해 카드 등록만 해두면, 전통시장에서도 일반 카드처럼 결제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의 주요 혜택
- 10% 할인 혜택 – 과거 은행 구매 시 5% 할인에 그쳤던 것과 달리, 이제는 모바일 충전 방식으로 1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 가능
- 소득공제 40% –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장점 유지
- 편리한 카드 결제 방식 – 상품권 QR 코드 찾을 필요 없이, 등록된 카드만 있으면 간편하게 결제 가능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큰 장점은 '결제 방식의 직관성'입니다. 온라인 쇼핑처럼 QR코드를 꺼내는 번거로움 없이, 실물 카드로 결제하듯 사용할 수 있어 전통시장 이용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3. 온누리상품권 앱 사용의 단점
물론 모든 서비스가 그렇듯 약간의 불편함도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잔액 관리의 번거로움입니다. 일반 체크카드는 잔액이 바로 계좌에 표시되지만, 온누리상품권은 별도의 충전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앱 내 상품권 잔액을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보완하는 팁은 소액 단위로 자주 충전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예산을 세워 일정 금액만 충전해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면, 과도한 소비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온누리상품권 앱 지금 설치할까?
온누리상품권 앱은 현재 출시 초기 단계로,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이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아직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해본 적 없거나, 예전에 지류 상품권의 불편함으로 포기하셨던 분들이라면 이번 기회에 카드 기반의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체험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소비자도 할인 혜택과 소득공제를 누릴 수 있는 착한 소비. 지금 바로 온누리상품권 앱을 설치하고 카드를 등록해보세요.
마무리하며
온누리상품권은 더 이상 번거로운 종이 상품권이 아닙니다. 신용카드처럼 손쉬운 결제와 10% 할인 혜택, 그리고 연말 소득공제까지. 지금 바로 시작해 보시고, 전통시장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따뜻한 소비에 함께해 보세요.
'생활 정보 > 생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소상공인 정부지원 신청방법, 일정|공과금 50·배달비 30·카드한도 1천까지 (9) | 2025.06.25 |
---|---|
2025년 자동차세 연납 2차 신청 방법|똑똑한 할인 팁 정리 (10) | 2025.06.24 |
고효율 가전기기 10% 환급 + 지역사랑상품권 15% 할인, 정부가 쏜다! 2025 소비자 지원 혜택 총정리 (0) | 2025.06.22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 대상, 지원금액, 지급 시기 총정리 (3) | 2025.06.17 |
종합소득세 환급금 조회, 지급일 확인 방법 총정리 (1) | 2025.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