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생활 경제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원자격, 본인부담금, 재가부터 시설 지원 비용

by Emjay D 2025. 5. 31.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자와 노인성 질환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공적 돌봄 제도입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사회에서, 노후의 안정성과 가족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한 필수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등급별로 제공되는 재가급여,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시설급여 등 각 서비스의 정의와 비용 기준을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총정리, 지원자격, 본인부담금, 재가부터 시설까지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총정리, 지원자격, 본인부담금, 재가부터 시설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이란?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65세 이상 고령자 또는 노인성 질병(치매, 파킨슨병, 뇌혈관질환 등)을 앓고 있는 65세 미만자를 대상으로, 국가가 인정한 등급에 따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08년 7월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며, 재가급여(방문요양,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등) 또는 시설급여(요양시설 입소)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제도의 도입 배경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 중심의 돌봄이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가 돌봄을 공적 책임으로 전환하고자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병원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 존엄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요양과 돌봄을 사회 서비스로 보장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누가 대상이 되나요?

  •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장기요양이 필요한 사람
  •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뇌혈관질환, 파킨슨병 등 노인성 질환이 있는 경우

장기요양 등급은 1~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으로 나뉘며, 등급별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범위와 월 한도액이 다릅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는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1. 재가급여

  • 방문요양: 식사, 세면, 이동 등 일상생활 보조
  • 방문간호: 건강 상태 확인, 상처 관리, 투약 지도 등
  • 방문목욕: 목욕차량 또는 이동식 욕조를 이용한 목욕 지원
  • 주야간보호: 낮 시간 동안 시설에서 보호 및 인지 훈련 제공
  • 단기보호: 단기간 보호시설에 입소해 집중 보호

2. 시설급여

노인요양시설이나 노인공동생활가정 등에 입소해 24시간 돌봄을 받는 서비스입니다.

3. 복지용구

휠체어, 침대, 안전손잡이 등 생활 보조기구를 구입 또는 대여하는 비용을 지원합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절차는?

  1. 장기요양 인정 신청 (공단 지사 또는 홈페이지)
  2. 공단 직원의 방문조사
  3. 의사소견서 제출 (지정 병의원)
  4. 장기요양인정위원회의 등급 판정
  5. 등급 통지 후 급여 이용 시작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은 얼마나 되나요?

  • 재가급여: 본인부담 15%
  • 시설급여: 본인부담 20%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00%, 90%, 60% 감면 가능

예: 방문요양 60분 급여비용이 24,580원이라면 실제 부담액은 약 3,700원 정도입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장점

  • 가정 중심 돌봄의 지속 가능성 확보
  • 경제적 부담 완화 (국가 보조)
  • 시설 입소가 아닌 지역사회 돌봄 실현
  • 중증 질환자도 맞춤형 지원 가능

1. 재가급여

재가급여는 수급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집에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제공 등이 포함됩니다.

등급 월 한도액(원)
1등급 2,306,400
2등급 2,083,400
3등급 1,485,700
4등급 1,370,600
5등급 1,177,000
인지지원등급 657,400

2. 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수급자의 가정에 방문해 신체활동지원(세면, 식사, 배설 등)과 가사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용시간 급여비용(원)
30분 이상 16,940
60분 이상 24,580
90분 이상 33,120
120분 이상 42,160
150분 이상 49,160
180분 이상 55,350
210분 이상 61,670
240분 이상 68,030

 

3. 방문목욕

목욕차량이나 요양보호사가 수급자 가정을 방문해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서비스 유형 급여비용(원)
차량 내 목욕 86,480
가정 내 목욕 77,970
차량 없이 제공 48,690

4. 방문간호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가 가정에 방문해 투약, 건강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시간대 급여비용(원)
15~30분 41,710
30~60분 52,310
60분 이상 62,930

5. 주야간보호

수급자가 낮 동안 시설에 머무르며 식사, 활동지원, 인지훈련 등을 받는 서비스입니다.

이용시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등급
3~6시간 40,650 37,630 34,740 33,160 31,580 31,580
6~8시간 54,490 50,470 46,590 45,000 43,400 43,400
8~10시간 67,770 62,780 57,960 56,380 54,780 54,780
10~13시간 74,660 69,160 63,900 62,290 60,710 54,780
13시간 초과 80,060 74,170 68,520 66,930 65,350 54,780

 

6. 단기보호

보호자의 부재 시 며칠 간 요양시설에 입소해 집중 돌봄을 받는 서비스입니다.

등급 1일당 급여비용(원)
1등급 71,970
2등급 66,640
3등급 61,560
4등급 59,940
5등급 58,300

7. 시설급여

노인요양시설이나 공동생활가정에 입소해 24시간 상시 돌봄을 받는 제도입니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배치 기준)

등급 충족(원) 미충족(원)
1등급 90,450 86,030
2등급 83,910 79,810
3~5등급 79,240 75,360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급 급여비용(원)
1등급 72,480
2등급 67,250
3~5등급 62,000

 

마무리하며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다양한 서비스 옵션을 통해 어르신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족의 돌봄 부담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등급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급여를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는 이 제도의 큰 장점입니다.

정확한 이용 가능 금액과 본인부담금 계산을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1577-1000 고객센터를 통해 상담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댓글